* 각두가 뒤로젖혀지고 * 각두가 약간 뒤로젖혀지고
누런색,1/2이상열매감쌈 떡갈보다옅고2/3쯤열매감쌈
*잎-파도형 피침형 파도형 피침형 * 피침형 파도형
참나무 구별하기 전에 정리해놨던 참나무 구별방법입니다.
겨울눈하고 도토리 사진까지 정리가 되면 좋을텐데 그렇지 못해요.
여기엔 표로 올리지 못하니까 한글문서를 사진으로 올렸고요.
구별할때, 잎의 모양을 중심으로 나눠봤습니다.
참나무 참나무(=도토리나무), 참꽃(=진달래)
참나무과(Fagaceae) : 기본 6종 외에도 이렇게 많은 참나무가 있다니!!
1.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
2. 밤나무속: 약밤나무, 밤나무
3. 모밀잣밤나무속: 모밀잣밤나무, 구실잣밤나무, 둥근잎구실잣밤나무
4. 돌참나무속: 돌참나무
5. 참나무속: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정능참나무, 떨갈나무, 떡신갈나무, 떡갈졸참나무, 신갈나무, 갈참나무, 굴참나무, 떡속소리나무, 떡갈참나무, 물참나무, 떡신갈참나무, 갈졸참나무, 붉가시나무, 개가시나무, 종가시나무, 가시나무, 졸가시나무
<이름의 유래>
상수리나무 : 임금님이 피난길에 이 나무의 도토리로 만든 수라상을 받으셨기에 상수리나무란 이름이 붙었다.
굴참나무 : 껍질이 두꺼운 참나무이다. 굴참나무 껍질로 지붕을 엮은 집을 굴피집이라고 한다.
갈참나무 : 나무껍질을 잘 살펴보면, 잘 갈아 입기 위해 주름이 깊게 패여 있다.
졸참나무 : 가장 작은 잎과 도토리를 가진 졸병참나무이다. 이 나무의 도토리로 만든 묵이 가장 맛있다고 한다.
떡갈나무 : 이 잎으로 떡을 쌌다. 떡을 쌀만큼 넓은 잎을 가졌고 잎에는 썩지 않는 물질이 들어 있다.
신갈나무 : 짚신 바닥에 잎을 깔아서 사용했다. 신바닥에 깔아서 신갈나무라 불렸다.
<수피로 구별할때>
특히 굴참나무는 수피가 코르크라서 눈에 확 띠기때문에 쉽게 구별이 되는데
산에서 코르크질을 갖는 것은 굴참 외에도 황벽나무와 살구나무가 있다.
살구나무와 구별하는 방법은 모르고
굴피와 황벽을 구별하는 방법은 손으로 눌러봤을때 딱딱하면 굴참나무,
부드럽게 살며시 폭신하게 들어가면 황벽나무이다.
<도토리로 구별할때>
방석처럼 확 퍼져 있는 모양을 갖는 도토리를 갖는 참나무는 떡갈, 상수리, 굴참이 있고
기왓장 올려놓듯이 포개져 있는 도토리를 갖는 것은 갈참, 신갈, 졸참이다.
특히, 상수리와 굴참나무만 2년만에 도토리가 열리고 나머지는 일년만에 열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