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徒步踏査 시작합니다.
** 3월 첫 주부터 도보답사가 시작됩니다.
지난 해 12월 사회교육원 홈페이지에 이미 공시되었으나 미처 읽지 못한 분들을 위해 이 곳에 전재합니다.
도보 답사(徒步 踏査)
♦ 교육목표
우리 시대에 중요한 삶의 가치는 <건강하게 사는 것>입니다.
이 강의의 첫째 목표도 <건강하게 걷기>입니다.
몇 해전부터 국내에도 걷기 좋은 길이 속속 가꾸어지고 있고 걷는 이들도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본 강의는 이와 같은 추세에 맞추어 이 땅에 살던 우리 선배들의 삶의 흔적을 찾아 <테마가 있는 길>을 <健康하게 걷게>될 것입니다.
♦ 교육내용
우리가 살고 있는 서울은 石器時代부터 시작하여, 百濟의 도읍으로 약
500년, 후기新羅와 고려를 거치고 朝鮮의 도읍으로 500여년을 지낸
이 땅의 가장 由緖깊은 곳입니다.
어느 山길, 어느 골목을 돌아 보아도 博物館 아닌 곳이 없습니다.
본 교육은 이런 길을 함께 걷는 것이 주 내용입니다.
좁게는 內四山(木覓,駝酪,白岳,仁王)의 안쪽을 중심으로 하는 京都(門안)와
넓게는 城底10里의 漢城府 및 外四山(冠岳,峨嵯,三角,德陽) 안팎을 다니게
될 것입니다.
하루에 7~8km 정도, 3~4시간의 丘陵길과 山길을 주로 걷게 됩니다.
지나는 길에 만나는 이 땅 선배들의 흔적이 있으면 함께 이야기를 나누게
될 것입니다.(例로, 서울都城을 갈 때는 南山, 仁王山, 北岳山.. )
<主要 테마>
1. 磨崖佛이 계신 곳.
2. 柱聯 찾아 가는 절길.
3. 城길을 따라서.(서울都城, 蕩春臺城, 남한산성, 북한산성... )
4. 朝鮮의 王陵
5. 그 분들은 어디에 잠드셨는가? (主要 墓域)
6. 서울의 물길(청계천, 한강, 주요支川 )
7. 烽燧臺(봉수대: 봉화대가 있던 곳)
8. 首善全圖 따라 가는 漢城府의 흔적들.
9. 鄭鑑錄이 일러 주는 十勝地를 찾아서(먼 길 답사 1)
10. 그 섬에 가고 싶다(먼 길 답사 2)
<등록 관련정보>
구분 |
내 용 |
비고 |
교육기간 |
1학기 |
테마별 한 학기 |
답사시간 |
화요일 오후 1시 30분~일몰시 |
|
담당교수 |
이한성(기본한문 교수) |
역사지리답사가 |
교재명 |
프린트 자료(필요시) |
E-mail 발송 |
참가자격 |
사회교육원 學人 |
예비학인 포함 |
학기당 학습비 |
없음 (재량껏 마음 가는 곳에 보시하실 것 ) |
|
<봄학기 : 제 1강 마애불이 계신 곳>
일정 |
내 용 |
비 고 |
1주( 3월2일) |
승가사 마애불 |
보물215호 |
2주( 3월9일) |
도선사 마애불 |
서울유형문화재 34호 |
3주( 3월16일) |
인왕산 마애불 |
|
4주( 3월23일) |
삼천사 마애불 |
보물657호 |
5주( 3월30일) |
학도암 마애불 |
서울유형문화재 124호 |
6주( 4월6일) |
방학동 마애불 |
|
7주( 4월13일) |
안양암 마애불 |
서울유형뮨화재 122호 |
8주( 4월20일) |
관악산 마애불 |
서울유형문화재 49호 |
9주( 4월 27일) |
평창동 마애불 |
|
10주(5월4일) |
옥천암 마애불 |
서울유형문화제 17호 |
11주(5월11일) |
보타사 마애불 |
서울유형문화재 89호 |
12주(5월18일) |
달마사 마애불(화장산) |
|
13주(5월25일) |
용미리 마애불 |
보물93호 |
14주(6월1일)
|
용덕사 마애불(북한산) |
|
15주(6월8일) |
상운사 매애불(북한산) |
|
1) 언제나 3~4시간을 걸어서 마애불에 다녀 옵니다.
2) 편한 산행복장에 물, 간단한 간식을 챙겨 오십시오.
3) 서울 주변에는 마애불이 계신 곳이 20~30 곳이 더 있습니다.
4) 매학기 위에 언급한 <主要 테마>와 같이 답사길을 바꾸어 갑니다.
*모이는 곳: 사회교육원 느티나무
시간: 오후 1시 30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