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작물 자료

[스크랩] 콩재배기술 -태안

後凋1 2010. 7. 22. 09:24


콩재배기술



[꼭 실천해야 할 과제]

▣ 고품질 품종 재배하기

☞ 우리지역 장려품종 : 황금, 태광, 소담, 검정콩1호, 일품, 청자콩

☞ 생리적 퇴화방지를 3년에 1회 정부보급종 종자로 갱신

 

▣ 땅심 높여 고품질 및 수량증대

☞ 퇴비넣기, 석회시용

 

▣ 중경배토

☞ 제초를 겸하여 1∼2회실시

☞ 토양산소 공급 및 부정근 발생 조장으로 생육과 결실이 양호함

 

▣ 순지르기(적심)

☞ 콩을 일찍 심거나 지력이 좋은 곳에서 웃자랄 경우 적심처리

☞ 일반적으로 본엽이 5∼7매시 적심해야 수량증대 효과

(늦게 적심 하는것은 수량감소의 원인)

 

▣ 적기 병해충방제

☞ 7월하순∼9월상순 2회이상 병해충방제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등은 이동성이 강하므로 집단방제






1. 콩 수급동향



○ 콩수요량은 연간 163만톤이며, 식용46만톤, 사료용 117만톤 수준임

○ 전년가격 상승으로 국산콩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약간 증가함

○ 최근 웰빙농산물로 부상하면서 재배농가도 증가추세임

○ 국산콩 가격은 수입콩보다 3-8배 정도 높으면 가공업체는 값싼 수입콩, 가공용은 국산콩을 선호하는 경향

○ 최근 차별화된 국산콩 제품 생산이 활성화 되고 있는 추세임



2. 품종선택

○ 종자확보 : 콩종자는 생리적 퇴화방지를 위하여 3년에 1회 갱신

○ 종 자 량 : 5∼10kg/10a(파종시기, 방법에 따라 다름)

○ 종자소독 : 종자 1kg에 종자소독약 베노람 수화제(벤레이트티) 5g 또는 호마이 수화제 5g을 분의소독


<우리지역에 맞는 품종>



3. 거름주기

○ 콩전용복비(8-14-12)시용

- 시용량(kg/10a) : 비옥지 35kg, 보통땅 50kg, 개간지 75kg

○ 퇴비시용 : 보통땅 1,000kg 개간지 1,500kg/10a

○ 석회시용 : 200kg/10a(적정pH6.5∼ 7.0)



4. 파종

○ 알맞은 파종시기 : 너무 일찍 파종시 과번무 되어 도복

- 1모작 : 5월중순∼5월하순

- 2모작 : 6월중순∼6월하순

○ 조류피해방지 : 새총 액상수화제 종자 분의처리

○ 점파식파종기 활용으로 노동력 절감



5. 중경배토

○ 배토는 제초를 겸하여 2∼3회실시

○ 1차 배토는 콩의 본엽이 2∼3장 정도일때 떡잎까지 흙을 덮고

2차는 콩 본엽 4∼5장일때 초생엽까지

3차 배토는 콩 본엽 6∼7장일때 제1본엽 마디까지 실시한다.

○ 주의할점은 늦은 시기에 배토를 하면 줄기가 굳어서 부정근이 잘나지 않을 뿐 아니라 기존의 뿌리가 잘리는 피해가 생기므로 배토는 늦어도 꽃피기 10일전까지는 마쳐야함.

○ 중경배토로 토양 물빠짐과 산소공급이 양호하고 도복방지 효과가 있으며, 부정근 발생으로 생육과 결실이 좋아 수량이 증대됨



6. 적심(순지르기)

○ 콩을 일찍 심거나 지력이 좋아 과번무할 경우 쓰러지기가 쉬우므로 미리 줄기의 생장점 부분을 제거하는 적심처리를 해줌.

○ 시기는 본엽이 5∼7장 정도 되었을 때 적심.

○ 순지르기함으로 곁가지의 왕성한 생육을 유도하여 많은 꼬투리를 얻고 도복 방지로 수량증대 효과가 나타남.



7. 논콩재배

○ 최근 쌀 수급안정 확보와 벼 적정면적 유지를 위하여 지력증진과 환경보전 작물인 콩을 논에 재배

○ 논콩재배는 농협과 사전에 수매계약 체결

○ 재배적지 : 습해우려가 없는 사양토, 양토로 물빠짐이 좋은 지역, 산간곡답 등 찬물나는 땅은 제외

○ 밑거름 : 비옥도를 감안하여 조절시용(본잎 5∼7잎시 순지르기)



8. 잡초약 사용


구 분

제초제

상표명

10a당

사용량

사용시기

적용잡초

토양처리제

알 라 유 제

라 쏘

200

파종복토후 3-4일이내

1년생잡초

메토프유제

코 달

300

리누론수화제

아 파 론

100-150g

에탈푸로라린

유 제

쏘 나 란

60

경엽처리제

지호프유제

원 싸 이 드

75

잡초3-5 엽기

화본과 잡초

세톡시딤유제

나 브

150

잡초2-4 엽기



9. 병해충방제


시 기

대상병해충

약 제 명

방제법

7월하순

-

9월상순

자주빛무늬병

탄저병

노린재류

만코지수화제(다이센M45)

또는 베노밀수화제(벤레이트)

+

매프(스미치온,호리치온)

나크(세빈)수화제

10a당

100∼200

착협후

(2-3회 살포)


○ 해마다 노린재피해가 증가하므로 필수방제

- 콩이 개화후 어린콩 꼬투리에 침을 찔러 넣고 즙액을 빨아 먹으므로 빈깍지가 되거나 자라지 못함


콩가해 주요노린재 종류 및 피해사진

○ 콩에 피해를 주는 주요 노린재

톱다리 개미허리노린재

안락수염 노린재

풀색 노린재

 

○ 노린재류 피해협 및 종실

노린재 피해협의 황변 및 탈락

(초기 피해협황변 후 탈락협)

결협초기 피해협

종실 비대기 피해립


출처 : 다락골사랑
글쓴이 : 다락골사랑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