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ok! 시간 날때 하나씩 익히기 그동안 구절초 벌개미취 쑥부쟁이를 구분하지 못해 답답했었다. glossary: 숙근성(宿根性): 해마다 묵은 뿌리에서 움이 다시 돋는 식물. 숙근성식물 [ perennial plant, 宿根性植物 총포(involucre, involucrum, 總苞) : 화서의 기부에 많은 포엽이 모여 형성된 일종의 엽적기관이고 개개의 포엽을 총포편이라하는데 총포는 꽃이 발육하는 동안 꽃을 보호하는 역활을 함. 일반적으로 포는 화병의 기부에 생기는 소형의 잎이고 총포는 착생위치의 차이로 구별함. 국화과의 두상화서와 미나리과 식물의 산형화서에서 볼 수 있는 포의 한 가지. 화서 전체의 기부(基部)를 싸고 있음. 기껏 설명을 한 것을 읽어도 무슨 말인지 모른다. 포편(苞片): 花序 열편(lobe 裂片 ) :
관상화(tubiflorous, 管狀花): 관상의 화관편 소수화를 갖는 것으로 국화과에서 흔히 볼 수 있음. 화관(corolla, 花冠) : 꽃받침(꽃의 구성 요소 중 가장 바깥쪽에 꽃잎을 받치고 있는 꽃의 보호 기관 악(?)이라고도 하며 심피(心皮)·수술·꽃잎과 함께 꽃을 구성하는 4요소 중의 하나다. 흔히 녹색이나 갈색이다) 안쪽에 있는 꽃잎들의 모형 꽃잎을 총칭하는 말로서, 화관에는 개개의 꽃잎(화판)이 하나로 유합되어 있는 합판화와 이판화가 있음. 우상(feathery, pinnate, plumose, 羽狀) : (구조, 배치 따위가) 깃털 또는 깃털 비슷한 모양의 좌우에 마주 보고 늘어선 배열 상태를 말함 측열편: 예두( ): 거치(serra, 鋸齒 ): 잎이나 꽃잎의 가장자리가 톱니모양으로 들쑥날쑥한 것. 사질양토(砂質壤土): 식물과 관련된 용어가 한자어로 대단히 난해하다. 우리말로 정비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원 제기럴, 무슨 말인지 알 수가 있어야지...
야콘 |
![]() |
![]() |
| ||
![]()
|